본문 바로가기

2. 관계심리21

내 탓이 아냐, 책임 전가 심리 여러분, 누군가 실수를 하고도 "내가 한 게 아니야"라며 변명하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혹은 스스로 실수했을 때, 본능적으로 다른 사람이나 상황 탓을 하고 싶은 충동을 느껴본 적은요?우리는 왜 본능적으로 책임을 피하려고 할까요? 오늘은 책임 전가 심리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풀어보겠습니다.책임 전가란 무엇일까?책임 전가(blame shifting)는 자신의 실수나 잘못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고, 다른 사람이나 외부 요인 탓으로 돌리는 행동을 말합니다.예를 들면 이런 거예요.일을 미루다가 마감에 늦고, "업무 지시가 명확하지 않았어"라고 말하기.시험을 망치고, "선생님이 문제를 어렵게 냈어"라고 핑계 대기.책임 전가는 순간적으로 마음을 편하게 해주지만, 장기적으로는 성장과 관계를 해칩니다.책임 전가 심리는 .. 2025. 4. 25.
나르시시스트를 끌어들이는 사람들의 특징 여러분, 혹시 주변에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이고, 처음엔 매력적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관계가 힘들어지는 사람을 만나본 적 있나요?처음에는 자신감 넘치고 매력적이었는데, 점점 나만 힘들어지는 관계. 이런 경우, 상대가 '나르시시스트(narcissist)'일 가능성이 있습니다.그런데 신기하게도, 나르시시스트는 특정한 사람들에게 특히 끌리는 경향이 있어요.오늘은 나르시시스트를 끌어들이는 사람들의 특징을 심리학적으로 풀어보겠습니다.나르시시스트란 누구일까?나르시시스트는 자기애 성향이 강한 사람을 말해요.자신을 과도하게 특별하게 생각합니다.타인의 관심과 칭찬을 갈구합니다.공감 능력이 부족합니다.관계를 수단처럼 이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처음에는 매력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모습으로 다가오지만, 시간이 지나면 상대방의 감정을 .. 2025. 4. 24.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쓰는 뇌 여러분, 거울 앞에서 옷을 고를 때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볼까?" 하고 고민한 적 있으신가요?회의 시간에 질문하고 싶은데, "이상하게 보이지 않을까?" 망설였던 적은요?왜 우리는 이렇게 타인의 시선을 의식할까요? 그리고 그게 때론 우리를 얼마나 조심스럽게 만드는 걸까요?오늘은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쓰는 심리학적 이유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보겠습니다.타인의 시선을 신경 쓰는 건 본능이다우리가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쓰는 건 단순한 성격 문제가 아니에요. 인간이라면 누구나 타인의 평가를 의식하도록 진화해왔기 때문입니다.인류는 오랜 시간 동안 집단 생활을 하며 생존해왔어요. 공동체 안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받아들여지는 것은 생존에 직결됐습니다. 따돌림을 당하거나 집단에서 배제되면 생존이 위협받던 시절이 있.. 2025. 4. 20.
왜 나쁜 소문은 빨리 퍼질까? “야, 그거 들었어?”소문은 언제나 그렇게 시작돼요. 근데 신기하죠? 좋은 이야기보다 이상하게 나쁜 소문이 더 빠르고 널리 퍼져요. 누가 잘했다는 얘기는 대충 넘기면서도, 누가 잘못했다는 얘기는 끝까지 캐묻고, 또 옆 사람에게 전해주죠.왜 우리는 나쁜 소문에 이렇게 민감하고, 또 퍼뜨리게 될까요? 심리학에서는 이걸 꽤 깊이 연구해왔어요. 함께 한 번 파헤쳐봅시다.나쁜 소문이 퍼지는 심리적 이유●부정성 편향(Negativity Bias)우리 뇌는 기본적으로 부정적인 정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설계되어 있어요. 위험하거나 부정적인 정보를 빠르게 포착하고 반응해야 생존 확률이 높아졌기 때문이죠. "저기 독 있는 열매 먹으면 죽는다" 같은 정보는 꼭 기억해야 했으니까요.그래서 지금도 좋은 뉴스보다 안 좋은 뉴.. 2025. 4. 14.
한 아이가 전쟁을 끝냈다 사진 한 장이 세상을 움직인 날– 대리 트라우마와 감정 이입의 심리학 혹시 이 사진을 기억하시나요?전쟁터 한복판에서, 벌거벗은 채 맨발로 울부짖으며 도망치는 작은 소녀.뒤에는 검은 연기와 불길이 일렁이고, 그 속에서 혼란에 빠진 군인들과 함께 울고 있는 아이들이 보입니다. 하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유독 눈에 띄는 아이, 눈은 공포에 질려 있고 입은 소리 없이 벌어져 있으며 몸은 심하게 화상을 입은 듯 벌겋게 달아올라 있었죠.그 아이의 이름은 팜 티 킴 푹(Phan Thị Kim Phúc).그녀는 1972년 6월 8일, 베트남전 중 나팜탄 공격에서 살아남은 피해자였습니다. 그리고 그날, 그녀의 절규를 포착한 사진 한 장은 전 세계를 뒤흔들었습니다. 수백 개의 기사보다, 수천 마디의 말보다 단 한 장의 사진이.. 2025. 4. 2.
친구가 죽었는데 다들 아무렇지 않아 보였다.(집단침묵) 아무도 울지 않던 날, 그 감정은 어디로 갔을까?얼마 전,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짧은 글 하나가 사람들의 마음을 무겁게 만들었습니다. 한 고등학생이 친구의 죽음을 경험한 날의 이야기를 올린 것이었죠.“같은 반 친구가 세상을 떠났는데, 다음 날 학교에 와 보니 다들 그냥 일상처럼 수업 듣고, 밥 먹고, 웃고 있었어요. 나는 속이 너무 복잡했는데, 왜 아무도 울지 않았을까요?” 이 글을 본 수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겪었던 비슷한 경험을 댓글로 공유했습니다.“나도 그랬어요.” “그때 내 감정이 잘못된 줄 알았어요.” “다들 아무렇지 않은 척하는 게 너무 이상했어요.” 정말 이상하죠?. 분명 소중한 친구를 잃었는데, 모두가 조용하고 덤덤합니다.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요? 오늘은 이 이야기를 통해 애도 회피.. 2025.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