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관계심리

내 탓이 아냐, 책임 전가 심리

by 마음정원지기 2025. 4. 25.
반응형

여러분, 누군가 실수를 하고도 "내가 한 게 아니야"라며 변명하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혹은 스스로 실수했을 때, 본능적으로 다른 사람이나 상황 탓을 하고 싶은 충동을 느껴본 적은요?

우리는 왜 본능적으로 책임을 피하려고 할까요? 오늘은 책임 전가 심리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풀어보겠습니다.

책임 전가란 무엇일까?

책임 전가(blame shifting)는 자신의 실수나 잘못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고, 다른 사람이나 외부 요인 탓으로 돌리는 행동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이런 거예요.

  • 일을 미루다가 마감에 늦고, "업무 지시가 명확하지 않았어"라고 말하기.
  • 시험을 망치고, "선생님이 문제를 어렵게 냈어"라고 핑계 대기.

책임 전가는 순간적으로 마음을 편하게 해주지만, 장기적으로는 성장과 관계를 해칩니다.

책임 전가 심리는 왜 생길까?

첫 번째는 자아 보호 본능입니다.

인간은 자존감을 지키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방어하려 합니다.

실수를 인정하는 것은 자아에 상처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뇌는 "내 잘못이 아니야"라고 변명함으로써 자존감을 보호하려 해요.

두 번째는 사회적 평가 두려움입니다.

우리는 타인에게 좋은 사람, 유능한 사람으로 보이고 싶어합니다.

그래서 실수를 인정하면 "무능하다", "잘못했다"고 평가받을까 봐 두려워지고, 그 두려움을 피하려고 책임을 외부로 돌리게 됩니다.

세 번째는 처벌 회피 심리입니다.

어릴 때부터 실수에 대해 강하게 처벌받거나 비난받은 경험이 있다면, 실수를 인정하는 것이 두려운 일이 됩니다.

그래서 본능적으로 "내 탓이 아니다"라고 변명하며 처벌을 피하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책임 전가가 반복되면 생기는 문제

첫째, 자기 성장의 기회가 줄어듭니다.

실수를 남 탓으로 돌리면, 스스로를 돌아보고 개선할 기회를 놓칩니다. 결국 같은 실수를 반복하게 돼요.

둘째, 신뢰를 잃습니다.

책임을 지지 않는 사람은 주변 사람들에게 신뢰를 얻기 어렵습니다. 함께 일하거나 관계를 맺을 때 신뢰가 무너지면, 협력도 어려워집니다.

셋째, 자존감이 오히려 약해집니다.

책임을 피할 때는 순간적으로 자존감이 보호되는 것 같지만, 장기적으로는 자신에 대한 신뢰가 약해지고, 불안이 커질 수 있어요.

책임 전가를 줄이는 방법

첫 번째는 실수에 대한 인식 바꾸기입니다.

실수는 무능력의 증거가 아니라, 성장의 과정이라는 걸 기억하세요. 실수했다고 해서 나라는 존재가 부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두 번째는 자기 방어 본능 인식하기입니다.

책임을 외부로 돌리고 싶은 순간, "아, 지금 내 뇌가 나를 보호하려고 하는구나"라고 자각해보세요. 자각하는 것만으로도 반응을 다르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작게라도 책임지는 연습하기입니다.

"내가 실수했어. 다음에는 이렇게 해볼게"라고 말하는 작은 연습을 해보세요.

처음엔 어렵지만, 반복하면 실수와 실패를 더 가볍게 받아들이고, 책임을 지는 것이 무섭지 않아집니다.

네 번째는 책임과 죄책감을 구분하기입니다.

책임을 진다는 건 "내가 이 상황에 영향을 미쳤다"는 걸 인정하는 것이지, "내가 나쁜 사람이다"라고 죄책감을 느끼는 것이 아닙니다.

책임을 지는 것과 자신을 탓하는 것은 다르다는 걸 명확히 구분하세요.

마무리

책임을 회피하고 싶은 마음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인간의 본능입니다.

하지만 그 본능을 넘어서 실수를 솔직하게 받아들일 때, 우리는 더 단단하고 신뢰받는 사람이 될 수 있어요.

다음에 "내 탓이 아니야"라는 생각이 들 때 이렇게 스스로에게 말해보세요.

"실수해도 괜찮아. 책임지는 내가 더 멋진 거야."

그 작은 다짐이, 여러분을 훨씬 더 성숙하고 빛나는 사람으로 만들어줄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