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관계심리

나르시시스트를 끌어들이는 사람들의 특징

by 마음정원지기 2025. 4. 24.
반응형

 

여러분, 혹시 주변에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이고, 처음엔 매력적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관계가 힘들어지는 사람을 만나본 적 있나요?

처음에는 자신감 넘치고 매력적이었는데, 점점 나만 힘들어지는 관계. 이런 경우, 상대가 '나르시시스트(narcissist)'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나르시시스트는 특정한 사람들에게 특히 끌리는 경향이 있어요.

오늘은 나르시시스트를 끌어들이는 사람들의 특징을 심리학적으로 풀어보겠습니다.

나르시시스트란 누구일까?

나르시시스트는 자기애 성향이 강한 사람을 말해요.

  • 자신을 과도하게 특별하게 생각합니다.
  • 타인의 관심과 칭찬을 갈구합니다.
  • 공감 능력이 부족합니다.
  • 관계를 수단처럼 이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매력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모습으로 다가오지만, 시간이 지나면 상대방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본인만을 우선시하는 행동으로 관계를 힘들게 만듭니다.

나르시시스트가 끌리는 사람들의 특징

첫 번째는 공감 능력이 높은 사람입니다.

공감력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읽고, 이해하고, 배려하려는 경향이 있어요.

나르시시스트는 이런 따뜻함에 끌립니다. 자신을 무조건 이해해주고, 보듬어줄 것 같은 사람을 본능적으로 알아보죠.

문제는, 공감 능력이 높을수록 나르시시스트의 자기중심적인 행동을 더 오래 참아주거나, "이 사람도 힘든 게 있겠지"라며 합리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두 번째는 자존감이 낮은 사람입니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외부의 인정에 민감해요. 나르시시스트는 관계 초기에 과도한 칭찬과 관심을 퍼부으며 상대를 빠르게 사로잡습니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이런 칭찬을 통해 일시적인 만족감을 느끼고, 관계에 더 깊게 빠져들게 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칭찬은 사라지고, 오히려 비판과 무시가 시작되죠.

세 번째는 구원자 콤플렉스를 가진 사람입니다.

"내가 이 사람을 바꿀 수 있을 거야", "내가 이 사람을 치유해줄 수 있어"라는 구원 욕구가 강한 사람도 나르시시스트에게 끌리기 쉽습니다.

나르시시스트는 겉으로는 강해 보이지만, 내면에 상처와 불안이 많은 경우가 많아요. 구원자 콤플렉스를 가진 사람은 이 숨겨진 불안함을 느끼고, 본능적으로 돕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나르시시스트는 스스로 변하려 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결국 구원자는 지치고 상처받게 됩니다.

네 번째는 경계 설정이 약한 사람입니다.

자신의 감정이나 요구를 명확히 표현하지 못하고, 타인의 요구를 우선시하는 사람은 나르시시스트에게 특히 취약합니다.

나르시시스트는 상대방의 경계가 느슨할수록 더 많은 것을 요구하고, 점점 더 상대를 지치게 만들어요.

경계를 설정하지 못하면, 나르시시스트의 지나친 요구를 거절하지 못하고 관계가 점점 불균형하게 됩니다.

왜 반복해서 나르시시스트를 끌어들일까?

첫 번째는 익숙한 패턴 때문입니다.

어릴 때 부모나 중요한 주변 인물 중에 나르시시스트 성향이 있었던 경우, 이런 관계 패턴이 무의식적으로 익숙해져 있을 수 있어요.

그래서 의식적으로는 힘들어하면서도, 무의식적으로는 익숙함을 느끼고 비슷한 사람에게 끌리게 됩니다.

두 번째는 자기 가치감 회복 욕구입니다.

나르시시스트에게 사랑받으면 "내가 특별하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을 수 있어요. 그래서 자신의 가치를 확인받고 싶어 하는 심리가 이런 관계에 집착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나르시시스트를 끌어들이지 않으려면

첫 번째는 자기 인식 키우기입니다.

나는 어떤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패턴에 반복적으로 빠지는지 인식하는 것이 중요해요. 무의식적인 끌림을 알아차려야 패턴을 바꿀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건강한 경계 설정입니다.

"싫다", "그건 어렵다"를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는 연습이 필요해요. 경계를 분명히 하면, 나르시시스트가 쉽게 다가오지 못합니다.

세 번째는 자기 가치 인정하기입니다.

타인의 인정 없이도 스스로를 소중하게 여기는 연습을 해보세요. 자존감이 높아지면, 나를 이용하려는 사람과 건강한 거리를 둘 수 있습니다.

마무리

나르시시스트를 끌어들이는 건 결코 그 사람의 잘못이 아닙니다.

다만, 나를 더 잘 이해하고, 건강한 경계를 세울 때, 우리는 더 따뜻하고 균형 잡힌 관계를 선택할 수 있어요.

다음에 누군가에게 빠르게 끌릴 때 이렇게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이 끌림은 건강한 걸까, 익숙한 걸까?"

그 작은 질문이, 여러분을 훨씬 더 지혜롭고 단단한 사람으로 만들어줄 거예요.

반응형